지식IT
[CSS] CSS의 가상 선택자(Pseudo-class Selectors)
인코딩
2020. 1. 29. 22:45
728x90
반응형
CSS는 선택자(ex. h1, .class 등)를 잡아 HTML 요소에 스타일을 준다.
CSS가 선택자를 잡는 기준은 5가지로 나눌 수 있다.
- Simple Selectors(요소의 name,id,class를 기준으로 선택 - 일반적인 방법)
- Combinator Selectors(요소 간의 관계를 기준으로 선택)
- Pseudo-class Selectors(요소의 특정 상태를 기준으로 선택)
- Pseudo-elements Selectors(요소의 특정 부분을 선택)
- Attribute Selectors(요소가 가진 속성이나 속성의 값으로 선택)
이번 글에서는 Pseudo-class Selectors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
Pseudo-class Selectors(요소의 특정 상태를 기준으로 선택)
가상 선택자는 요소에 마우스를 올렸을때, 링크를 클릭했을 때 등 요소가 특정 상황에 놓였을때 요소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자이다.
표기법 - 기준 요소 뒤에 콜론( ' : ' )과 함께 기입 ex. a:link {}
가상 선택자 중 많이 쓰이는 선택자들을 알아보겠습니다.
1) 링크와 관련된 가상 선택자 ( link ,visited)
/* 방문하지 않은 링크 선택 */
a:link {
color : red;
}
/* 방문한 링크 선택 */
a:visited {
color : red;
}
2) 마우스 이벤트와 관련된 가상 선택자( hover, actived)
/* 요소에 마우스를 올렸을 때 */
a:hover {
color : red;
}
/* 요소를 클릭했을 때 */
a:actived {
color : red;
}
+
:hover은 만약 CSS파일에서 :link와 :visited와 같이 쓰는 경우 :link와 :visited 뒤에 와야 효과를 줄 수 있다.
:actived는 :hover 뒤에 와야 효과를 줄 수 있다.
참고 - "Learn CSS" W3School (https://www.w3schools.com)
반응형